돈주는 블로그 ?
< steemit logo 아직 beta 버전이라는 표시가 있다>
이렇게 거래도 되고 있다. 많이 오르고 있단다.
여긴 영어로 운영되는 사이트이다. 한국어 버전은 없다.
그래도 한국인 블로거들이 많이 보이고 있다.
자주 Tag 되는 단어들인데 당당히 kr 이라는 단어가 상단에 있다.
kr 은 한국어로 작성된 포스트를 말한다. 그러니 영어에 대한 걱정 없이 그냥 사용 하면 될 거 같다.
steemit 에 가입 할때 절차는 다른 사이트들도 비슷하므로 여기서 다루지는 않겠다. email 과 전화 두가지 다 인증해야 하는것 승인메일을 받아야 하는거 그리고 비밀번호만 빼고는 말이다.
다른데서 듣기로는 비밀번호를 내가 만들 수도 있다고 들었는데 내가 가입 할때는 자동으로 생성되어서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절대로 절대로 잃어버리지 말라고 당부 하고 있다. 어떻게 해서든지 백업해 두길 권장하고 있다. 솔직히 우리가 지금까지 그 많은 사이트들의 비밀번호들을 어떻게 기억하고 살았나 ? 쓰다가 까먹으면 ' 비밀번호찾기 ' 클릭해서 전화번호 나 이메일로 인증하면 쉽게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었는데 여긴 그런 시스템 자체가 없다. 비밀번호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절대적으로 잊지 말라고 당부 하고 있다.
그런데 자동으로 생성된 이 비밀번호가 어마어마한 길이다.
50자가 넘어가는 비밀번호는 내 인터넷 인생 25년만에 처음이다.
이걸 기억하라고 ? 구글을 믿는 수 밖에 없는거 아닌가 ?
아 구글아 넌 나에 대해서 너무 많이 알고 있다.
짧은 글로 저 새로운 소셜미디어업체를 자세히 설명 할 수 없다.
일단 겉만 훓는 정도로 살펴 보았다.
어떤가 ? 혹하지 않는가 ? 가상화폐로 돈이 지급되는 블로그라니..
도전해보자~!
'리뷰 > IT th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브라우저의 검색 기본값이 아래와 같이 변경 되려고 합니다. 이거 해결방법 (0) | 2019.02.28 |
---|---|
티스토리 사이트맵 등록하기 (0) | 2019.02.21 |
네이버 웹마스터에 내 블로그를 등록해 봅시다. (0) | 2019.02.20 |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웹마스터에 등록해 보자. (0) | 2017.12.08 |
티스토리블로그 만들기 : 블로그 만들기가 어렵네. (0) | 2017.12.05 |